2016년 1월 26일 화요일

컴퓨터공학과 전공에 대해 고민해봐야 할 것들

 
 
현재 미래유망직종, 취업잘되는 학과, 전망이 좋은 학과 라는 말을 듣고서 4년제, 전문대학의 컴퓨터공학과, 정보보안학과, 소프트웨어학과, 정보통신공학과 등 IT학과 등에 지원하려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고, 전공생들에게는 지금이라도 준비하길 바라며 경험했던 이야기를 토데로 알려 주려고 한다.
 
현재 많은 학생들이 누구나 대학을 가기 때문에 성적에 맞추어서 대학을 가거나 자신이 생각하지도 않은 전공을 학과이름만 보고 입학하는 학생들이 많이 있다.
필자는 그렇게 지원하는 학생이 있다면 차라리 대학을 가지 말라고 이야기 하고 싶다.
 
왜? 필자가 이런 말을 하는지 지금부터 알려 주겠다.
 
글이 길지만 꼭 읽어 봐주길 바란다.
 
 

 
"나는 인문계 고등학생이라서 컴퓨터기술이 먼지 모른다" 라는 말 그대로 수능준비만한 학생들이 당연히 컴퓨터 프로그램이 서버가 먼지, 네트워크가 먼지 C언어 조차도 한번을 경험해 본적이 없을 것이다.
잘못 된 것은 아니지만 이상황을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다.

 

거의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능 끝나고 무엇을 하는가?

아마도 수능이 끝났다고 알바를 하거나 친구들과 놀러 다니느라 바쁠 것이다.
또는 수학, 과학 등을 더 공부하려 하거나 워드, 엑셀 등의 전공과는 관련 없는 자격증을 취득하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지금 대학교에 합격한 나는 선택한 전공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는가?

"전혀 모른다.", "아무 생각이 없다. 또는 아직 생각 안해봤다." 일것 이다.
교육기관에서 진로 상담을 해주며 80% 이상의 답변이 그랬다.
C언어를 배운다, 프로그래밍을 배운다 정도를 안다면 정말 다행인 수준이다.
 
 

잘 된 전공선택의 예를 들어볼테니 한번 자신과 비교해보기 바란다.

중,고등학교 시절부터 관심이 있었고 한번이라도 관련 책을 사서 읽어보거나 프로그래밍을 해본 학생들이나, 한번이라도 컴퓨터공학과에서 배우는 과목에 대해서 대학 교육과정을 찾아본 학생들 그리고 컴퓨터관련 직업이 어떤것이 있는지 그 직업은 어떤일을 하는지 찾아본 학생들이 컴퓨터공학과와 같은 IT계열 학과에 지원해야 한다.

 

대학을 누구나 간다고 해서 나도 가야하는 것은 아니다.

아무런 생각과 준비없이 전공을 선택하고 지원해서 포기, 자퇴, 전과 등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1명 졸업을 시키기위해 비싼학비를 포함해 기숙사(자취), 식비, 차비 등으로 평균적으로 1억원 가량 들어가는 돈을 졸업장이라는 종이에 투자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필자가 왜 위와 같은 이야기를 하는지 알려주려고 한다.

아래 기사는 SW를 가르치고 있는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한 내용이 담긴 기사의 일부분이다.
아마 이름있는 대학 뿐만 아니라 많은 대학교 프로그래밍 실무 교수들이 느낄 것이다.
  1. SW에 대한 기본적 학습내용 없이 입시를 통해 입학한 학생에게 컴퓨터와 IT관련 전문 지식을 함양하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 SW는 단순한 프로그래밍만으로 부족하며 관련 분야 기술 지식이 있어야 한다.
    즉, SW관련 기본지식 없는 학생들은 가르치기 힘들다는 이야기이다.
  2. 대부분 대학에서 프로그래밍 언어 위주 교육.
  3. 산업현장 즉, 취업후 실무에 대해 필요한 교육을 모두 가르칠 수 없다.
 

<출처이티뉴스  [창간 33주년] SW학과 교수들에게 물었다.  http://www.etnews.com/20150916000275 >
 
설문참여교수 [심층설문 참여 교수](가나다순) 

=김상훈 한경대학교 전기전자제어공학과 교수 

=문남미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SW학과 교수 

=박두순 순천향대학교 컴퓨터SW공학과 교수 

=이근호 백석대학교 정보통신학부 정보보호전공 교수 

=이기용 숙명여자대학교 컴퓨터과학부 교수 

=정영식 동국대학교 멀티미디어공학과 교수 

=최민 충북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교수 

=한근희 고려대학교 융합SW전문대학원 교수
 
 
맞는 말이다. 필자도 컴퓨터공학과를 다니면서 여러분과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입학해서
C언어 실기시험에 좋지 않은 점수를 받았었다. 그리고 어렵다는 생각을 했고 C언어 후반부는 거의 포기하다시피 했었다.
솔직히 이론수업은 외워서라도 공부할 수 있었지만 프로그래밍 공부는 죽어도 외워서는 공부 할 수 없었다. 명령어에 대해 이해하고 사용할 줄 알아야 하기 때문이었다.
 
무엇보다도 관심이 있어야 했다. 그렇지 않으면 학교 수업이 끝난 뒤에는 쉬거나, 에 가기 바쁘거나, 특히 PC방으로 놀러가기 바쁠테니까 말이다.
 
1학년부터 이렇게 뒤처지다 보면 공부를 미루기 시작할 것이다.
방학동안 해야지, 재수강 해야지, 어떻게든 되겠지 특히 남학생의 경우는 군대갔다와서 해야지..
 
한번 미뤘는데 두번 미루는건 힘들 것 같은가?
 
아마 취업문턱에 들어서는 순간 처음부터 시작하거나 전공을 포기하는 학생들이 많을 것이다.
 
 

 
 
여러분은 고등학교때 공부하면서 어떤 대학을 가야지라는 목표나, 어떤 점수를 얻겠다는 목표, 몇등을 해보겠다는 목표 등이 있었을 것이다.
더 나아간 학생들은 어떤 직업을 목표로 하는 친구들도 있었을 것이다.
 
직업이란, 무엇인가? 여러분이 살아가기 위해 또는 내가 하고 싶은 일이기에 선택하는 것이다. 10년 20년 30년 평생 동안 해야 될 수도 있는 일이다.
 
그런데 아무런 생각없이 물 흐르듯이 대학교를 가서 졸업을 하면 직업을 가질수 있는 것인가?
최소한 내가 가지려는 직업에 대해 어떤일을 하는지 알아하고 어떤 공부를 해야 하는지는 알아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끊임 없이 노력해야 하는 것이다.
 
단순히 프로그래머, 정보보안전문가, 클라우드컴퓨팅전문가, 네트워크엔지니어, 웹개발자 등의 두리뭉실한 이름만 이야기 하는게 아니라
어떤 업무를 보는지 어떤 기술을 알고 있어야 하는지 까지 알고 어떤 공부를 할지 세세한 계획을 잡고 말이다.
 
 
 
앞서 이야기 했듯이 거의 대부분의 학생들이 오해하고 있는 부분 대학가면 다 배울 수 있겠지라는 오해이다.
대학교수님들도 인정하는 부분이다. 프로그래밍 실무 수업이외에는 시스템, 네트워크, 보안&해킹 실무는 대부분의 대학교에서 알려 줄 수가 없다.
 
거의 대부분 5~10% 학생들이독학을 통해 개발자 이외에 정보보안, 클라우드, 네트워크, 시스템 분야로 진출한다.
 
대학에서 배우는 이론도 중요하다 하지만 배우지 못한 산업현장 취업시 사용할 기술을 습득하는 것은 여러분의 몫이다.
 
또한 덧붙이 자면 원활한 취업을 위해서는 실무를 알고만 있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교내외 규모있는 프로젝트 경험, 공모전, 각종 대회 등에 스펙이 있어야 한다.
 
자격증? 웬만한 자격증은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 외워서도 딸 수 있는 자격증들도 있다.
 
IT분야에 오랜 기간 근무한 인사담당자들이 그걸 모를 것 같은가?
 
실무가 중요한 IT분야에서 실무능력을 증명할 길은 프로젝트 경험, 공모전, 각종 대회 등 밖에 없다.
 

 
 
 
지금 할 이야기는 남학생들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이다.  관심이 있이 시작한 친구들은 한번쯤은 들어 봤을 거라고 생각한다.
 

실무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는 앞에서 말했으니 알 것이다.

학생때 실무능력기르기가 정말 쉽지 않다.
하지만 남학생들의 경우는 방법이 있다. 바로 IT특기병이다.
 
IT특기병의 경우 정보보호기술병, SW개발병, 사이버수사병, 이 있고 그외에 IT관련 특기병으로 정보체계운용/정비네트워크운용/정비, 정보통신망관리운용/정비 등이 있다.
 
군대에도 밖에 있는 기업들과 같은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군대도 역시 국가기밀을 보안해야하고 인트라넷망을 구축해야한다.
 
정보보안쪽으로 공부하는 친구라면 몇가지 자격요건을 맞춘 뒤 정보보호기술병을 지원해야한다. 나머지 네트워크 분야, 시스템분야로 진출할 친구들은 정보체계운용/정비병,  네트워크운용/정비, 정보통신망관리운용/정비 등에 지원해야 한다.
 
2년이라는 시간이 남들에겐 그냥 군대에서 버리는 시간이 될지 모르지만 생각하고 지원한 사람에겐 엄청난 실무경험에 도움이 될 것이다.
 

 
 
 
대학이름만 들어도 아는 대학가면 취업된다는 옛말은 이제 끝났다.
망망대해에 네임벨류라는 크루져선이 기다리고 있는게 아니란 말이다.
 
뗏목을 가지고 내가 대학시절 동안 어떤 준비를 해야하는가 어떻게 보내는가에 따라 취업의 문은 틀려지게 된다.
 
특히 IT분야는 학벌보다는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했는지 어떤 공모전에서 수상했는지
어떤 대회에서 수상했는지가 중요하다.
 
필자의 후배중에 한명은 지방대학교에서 포렌식대회에서 우승해 KISA라는 기관에 바로 취업이 되어 버렸다.
 

이렇듯 누구나 다 가는 대학교에서 살아남고 경쟁하고 취업하기 위해서는 대학 학비만 내어가며 졸업장을 따면 안된다는 말을 다시한번 해주고 싶다.

모든 것을 미루고 미루다 보면 졸업할 것이고, 졸업장토익성적만 가지고 있는 미취업자, 비전공분야 취업자 타이틀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긴글을 끝까지 읽어 주었다면 어느정도 공감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고학년일 가능성이 높겠지만...
 
필자는 작은 기업에 개발자로 근무하다가 교육기관 교육팀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지금은 현재 많은 전공생들과 비전공생들 고등학생, 중학생 온/오프라인상에서 많은 질문들에 대해 상담해주고 학생으로 두고 있다.
 
 

혼자서 진로에 대해 고민하는게 지쳤고,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연락하기 바란다.
 
 
 
 
 
 
오픈카카오톡 : http://open.kakao.com/o/sO1KAu
교육기관홈페이지(www.itbank-mk.co.kr)
교육기관번호(서울 : 070-8232-2160, 부산 : 051-731-6890)
교육기관 지점(종로, 구로, 동대문, 강남, 연지, 세종, 부산)
 


2016년 1월 20일 수요일

빅데이터전문가로 취업하기 위한 방법

 

빅데이터기술/분석전문가로 취업하기




빅데이터로 취업하기위해서는 어떤 준비를 하고 어떻게 계획을 세워야 할지 알아보려 합니다.
빅데이터는 최근 활성화 되고 있는 빅데이터 마케팅이나, IoT사물인터넷에 꼭 필요한 기술입니다. 현재 이미 만들어진 데이터 분석이나, 수집된 데이터 분석을 통해 마케팅을 하거나 많은 데이터 처리를 필요로하는 SNS, 포털사이트, 사물인터넷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빅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분석전문가 그리고 기술전문가를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빅데이터전문가 분야

  • 빅데이터분석전문가 : 빅데이터분석가는 대량의 빅데이터를 관리하고, 분석해서 이 결과를 바탕으로 통계모델을 만들어 사람들의 행동패턴이나 시장경제 등을 예측할 만한 정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저장 및 분석, 데이터 시각화 등을 통한 정보 제공 등의 과정을 담당한다고 보면 됩니다.
  • 빅데이터기술전문가 : 기술전문가는 빅데이터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 웹사이트나 서버, 데이터베이스 단에 환경을 구축하는 일을 합니다. 빅데이터가 원활하게 많은 양의 데이터르 분산처리할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웹사이트, SNS 등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정렬 수집할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구축하는 일을 담당합니다.

 

2. 빅데이터전문가가 되기 위해 공부해야 하는 것


  • 빅데이터분석전문가가 되기위해서는 데이터 마이닝, SAS, SPSS, R 통계 분석 툴 사용, SQL, OLAP, Query, Reporting 도구 사용, 고객분석, 캠페인 기획 등 CRM 유경험자 다양한 데이터 분석을 위한 도구와 툴 R프로그래밍, 데이터마이닝, 텍스트마이닝, 고객분석, 마케팅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합니다.
  • 빅데이터기술전문가는 웹사이트 구축, 데이터 분석 경험 클라우드 서비스 및 인프라 사용/관리 경험, 분산파일 시스템 또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경험, Java Application, Java Script/Eclipse, 리눅스/유닉스 시스템, 다양한 데이터 분석을 경험 등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하며 하둡, mongodb, 분산처리 시스템, MapReduce 등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합니다.

위와 같은 지식을 배양하고 3년정도의 경력을 쌓으면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전문가 과정도 교육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국가기관이다 보니 국가 정책에 맞는 전문가 교육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3. 빅데이터전문가 자격증


빅데이터분석전문가 관련 자격증
  • 데이터준분석전문가(ADsP) -국가공인
    자격기준 > 없음
  • 데이터분석전문가(ADP) - 국가공인
    자격기준 > 박사학위를 취득한자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해당 분야의 실무경력 1년 이상인자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해당 분야의 실무경력 3년 이상인자
    전문대학 졸업후 해당 분야의 실무경력 6년 이상인자
    고등학교 졸업후 해당 분야의 실무경력 9년 이상인자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자격을 취득한 자
  • 그외 민간자격(의미 없음)
빅데이터기술전문가 관련 자격증
  • OCJP(JAVA) - 국제
    자격기준 > 없음
  • LPIC - 국제, 리눅스마스터 1급, 2급 - 국가공인
    자격기준 > 없음
  •  MCSE, MCSA(window) - 국제
    자격기준 > 없음
  • OCP, WDP 등 데이터베이스 관련 자격증 - 국제
  • 빅데이터 기술 관련 자격증

 

4. 빅데이터전문가 전망

 
 
빅데이터전문가는 꾸준히 성장을 하고 있고 올해 정부정책 역시 빅데이터 보안인 만큼 국/내외적으로 많은 인력이 필요합니다.
국내 정부기관, 공공기관, 대/중견기업에서 많은 활용을 하고 있고 예정입니다.
금융기관, 카드사 등에서는 마케팅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전망이 좋은 분야에 대해서 공부하고 준비한다면 유망한 직업군에 전문가로 거듭나지 않을까 합니다.
 
 
 
 
오픈카카오톡 : http://open.kakao.com/o/sO1KAu
빅데이터전문가 교육에 대한 문의는 교육기관 홈페이지(www.itbank-mk.co.kr) 또는 교육기관
서울지점 : 070-8232-2160
부산지점 : 051-731-6890
문의 하시면 됩니다.
 
KG아이티뱅크 손민규 교육팀장
 

2016년 1월 19일 화요일

클라우드컴퓨팅 전문가로 진로를 결정하기 위한 글

클라우드컴퓨팅 전문가로 진로를 결정하기 위한 글

클라우드컴퓨팅이라는 말이 IT분야에서 언급되었던 것도 긴 시간이 흘렀습니다. 지금은 누구나 한번쯤은 들어 봤을 만큼 많은 사람들이 접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만 봐도 N드라이브 명칭이 N클라우드로 바뀌었습니다.
모든 스마트폰, 태블릿, PC는 클라우드에 연결되지 않은게 없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일상에서 알게 모르게 사용되고 있고 어느 통신사에 클라우드,  어느 포털의 클라우드 모든 데이터를 인터넷만 연결되면 손쉽게 저장하고 뺄 수 있는 편리함을 강조한 광고도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클라우드에 대해서 정확히 알고 진로를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1. 클라우드컴퓨팅 전문가 분야


  •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 개발자 : 웹사이트상 클라우드 플렛폼을 구축 개발하는 개발자입니다. 웹사이트 구축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함께 웹사이트에서 클라우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축 개발하는 일을 합니다.
  •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 엔지니어 : window, linux 서버와 네트워크 단에서 가상화를 통한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을 하는 엔지니어 입니다.
    시스템서버와 네트워크에 대한 대한 지식과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데스크탑에 대한 가상화를 담당합니다.

2. 클라우드컴퓨팅 전문가 준비과정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JAVA, JSP, Spring 과 같은 웹페이지 구축 에대한 이해를 가져야하고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 엔지니어의 경우는 네트워크, 시스템서버(linux, window)구축에 대한 선행지식이 있어야 합니다.
  •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 개발자
    (웹사이트기반에서의 클라우드 개발을 위한 도커에 대한 사용법, 서비스 쿠축 API 등에 대해 공부해야합니다.)
  • 클라우드 가상화 시스템 엔지니어
    (네트워크, 서버, 데스크탑, vmware 등에 가상화 등에 대해 알고 오픈소스, 아마존과 같은 알려진 클라우드 시스템 구축에 대해 공부할 필요가 있습니다.)

3. 클라우드컴퓨팅 전망



클라우드 시장은 꾸준히 성장을 하고 있고 세계적으로도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 분야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어떠한 개인, 기업이던 보안이 체계적으로 운영되는 클라우드서버를 사용할 수 밖에 없지 않을까 합니다.

현재 글쓴이의 교육기관에 속한 취업지원팀에도 클라우드보안, 클라우드시스템, 클라우드 개발쪽으로 많은 인력을 찾고 있다고 연락이 오고 있습니다.

앞으로 전망이 있는 분야 클라우드컴퓨팅 분야로 진출할 수 있도록 계획과 진로를 잡아 드리고 있습니다.
전액 국비지원 과정(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도 운영하고 있고 선행과정의 경우는 전지점에서 매월 개강되고 있습니다.

국비지원 전문가양성 과정을 통해 프로젝트 진행 및 실무에 대해 공부해보시기를 바랍니다.

오픈카카오톡 : http://open.kakao.com/o/sO1KAu
교육기관홈페이지(www.itbank-mk.co.kr)
서울지점 : 070-8232-2160
부산지점 : 051-731-6890
지점(종로, 구로, 동대문, 강남, 연지, 세종, 부산)








정보보안전문가로 진로를 결정하기 위한 글

정보보안전문가로 진로를 결정하기 위한 글


IT시장 즉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IoT(사물인터넷), SNS, 스마트폰 등이 생겨나게 되었고, 그 만큼  정보화된 정보들을 보호 할 수 있는 정보보안전문가들이 많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동시에 정보보안전문가를 꿈꾸는 사람들이 많이 생겨 나게 되었지만 정작 어떤 준비와 공부를 해야 할 지 모르기 때문에 발을 들이기가 쉽지 않습니다.




1. 정보보안전문가 직업
  • 모의해킹전문가 : 화이트 해커라고도 불리우며 모의해킹을 통해서 각 기업의 시스템, 프로그램등에서 취약한부분을 찾아내어 보완하는 직업군 입니다.
  • 보안솔루션 개발자 : 보안솔루션을 개발하는 개발자로서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백신프로그램, 네트워크, 웹, 모바일 전 분야에 걸쳐 보안 솔루션을 개발 하는 사람입니다.
  •  CERT(침해대응전문가) : CERT는 Computer Emergency Response Team의 약자로 식별되지 않은 침입이 발생하였을 때 확인하고 추적을 통해 범인을 찾아내거나 시스템에 손상을 신속히 복구 하고 대응합니다. 정보보안 분야에서 가장 뜨는 직업이며, 정보보안전문가 분야의 최전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군에서도 정보보호기술병이라는 이름이로 CERT(침해대응전문가)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2016년 부터는 100명까지 모집을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 악성코드 분석가 : 악성코드는 다른 말로 바이러스라고도 합니다. 악성코드 또한 명령이 들어가 있습니다. 그 악성코드안에 어떤 명령이 들어가있는지 빠르게 파악을 하여서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직업이 악성코드분석가 입니다.
  • 디지털포렌식전문가(사이버수사대) : 포렌식전문가(사이버수사대)는 사이버범죄 및 해킹에 대한 수사를 통해 처벌하기 위한 법적증거를 확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정보보안 지식 뿐만 아이라 다양한 법과학 등의 수준 높은 지식들이 요구 됩니다.
  • 정보보안 컨설턴트 : 시스템 및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보안팀의 전반적인 조직관리 보안수준 점검 그리고 이를 효과적으로 높이기 위한 컨설팅을 제공하는 직업입니다. 정보보안컨설턴트는 IT보안 솔루션 기술영업, 네트워크 및 보안솔루션 영업 경험자를 보안컨설턴트로 우대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완성된 솔루션을 역분석하는 리버스엔지니어, 암호 알고리즘 보안 프로토콜을 분석 및 설계하는 암호 전문가 등 이 있습니다.
위 분야중 한분야에 대해 설정을 하고 공부를 시작한다면 좀 더 명확하게 정보보안전문가로 거듭날수 있는 방법이 되겠지만, 많은 분야를 경험하고 더 많은 공부를 한다면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는 정보보안전문가가 되어 있지 않을까 합니다.



2. 정보보안 전문가 되는 준비과정

정보보안전문가는 어떤공부를 해야하고 어떤 준비를 해야하는지 알아 보려합니다.
보통 거의 대부분의 IT직업군이 SW개발을 하기위해 프로그래밍(C언어,JAVA,C++)을 배우거나, 서버분야로 진출하기 위해 시스템서버(Linux, window, unix)를 배우고, 네트워크분야로 진출하기위해 네트워크(CCNA, CCNP라우터/스위치)를 배우는 것과 같이 정보보안은 각 분야를 선행한 상태에서 보안공부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다만 일반적인 IT분야와 다르게 각 분야별로 공부하는게 아니라 세가지 분야에 모든 공부를 선행한 후 자신이 원하는 정보보안 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
  • 웹 어플리케이션 보안 & 해킹
    (Web Session hijacking, SQl Injection, Web Shell 등)
  • 시스템 보안 & 해킹
    (password crack, 악성코드, Brute Force Attack, Dictionary Attack 등)
  • 네트워크 보안 & 해킹
    (Session Hijacking, DoS&DDos, 무선 랜 해킹, Firewall, 패킷 분석 등)
  • 리버스엔지니어링
    (Code Pattern, Assembly, 디버깅 방식 등)
  • 디지털포렌식
    (Disk Forensic, FAT32, EXT2, NTFS, Helix, Final Forensic, FTX, Log 등)
  • 악성코드분석
    (Creak, keygen, PE분석, packing/unpacking, ActiveX, Code Patch 등)
기본적으로 선행해야한다고 했던 과목들을 공부해야만 구조적으로 알기 때문에 보안 및 해킹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공부할 수 있습니다.




3. 정보보안전문가 자격증

  • 정보보안기사/산업기사
    웹보안, 시스템보안, 네트워크보안, 보안관련법령 등에 대해서 자격시험
    자격요건 > 관련전공 2년이상
  • GIAC의 GSEC (국제정보보증인증)
    보안관리자, 포렌식, 운영, 감사, 소프트웨어 보안 보안관련 법 등 능력 자격 시험
  • (ISC)2의 CISSP
    정보시스템 아키텍처를 규정, 정보시스템 환경 전체를 설계, 관리, 통제 자격
    자격요건 > 리스크 관리, 클라우드 컴퓨팅, 모바일 보안, 앱개발 보안 등 CISSP에서 정해놓은 보안 분야 중 2가지 이상 5년 활동 경험 필요
  • (ISC)2의 SSCP
    CISSP 자격과 비슷하다.
    자격요건 > SSCP가 지정한 정보보안 분야중 1가지 분야에서 1년이상 근무경험
  • ISACA의 CISM
    조직 내 정보보안 자격
    자격요건 > 정보보안 업계 5년이상 근무중 3년이상 관리자이상으로 근무
  • ISACA의 CISA
    CIMA와 비슷 정보보안 감사 관리 자격
    자격요건 > 정보 시스템 감사, 통제, 정보 보증 및 보안 분야 중 5년이상 경험
  • 컴티아의 Security+
    정보보안 자격
    자격요건 > 정보보안 관련 업종에서 2년이상 근무 경험, Network+ 자격증 필요
자격증도 이제는 외워서 따는게 아닌 분야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이 있는 자격증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국내 자격만 보더라도 합격률이 회차를 거듭 할수록 떨어지고 있습니다.
전문성이 없는 사람들은 자격증을 외워서 딸 수 없도록 실기를 더욱 어렵게 출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4. 정보보안 전망

<출처 : 위키피디아>

앞으로 정보보안전문가는 계속해서 필요한 직업입니다. 계속해서 정보보안관련 사고가 일어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해서 일어날 문제들 입니다.
그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보보안전문가들이 중요해지고 또 필요해 졌습니다.
취업난 구직난 속에서도 인재가 없어서 뽑지 못하는 정보보안에 한번 도전해 보시는 것은 어떤가 합니다.




오픈카카오톡 : http://open.kakao.com/o/sO1KAu
KGITBANK 손민규 교육팀장
정보보안전문가 양성교육 문의 홈페이지(www.itbank-mk.co.kr), 교육문의(070-8232-2160)